여러 종류의 반려동물들에 대해 알아보자
우리나라에는 애완동물이라고 하면 대표적으로 강아지와 고양이를 뽑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특이한 애완동물들이 많이 들어와 여러 사람들이 특이한 애완동물들을 많이 키우는 걸 볼 수 있습니다. 강아지, 고양이 말고도 이런 동물을 키울 수 있다는 걸 알고 소개하려 합니다.
고슴도치
고슴도치는 발이 짧고 몸이 통통한 몸을 가지고 있으며, 특징으로는 옆구리와 등에는 가시로 덮여있어요. 고슴도치는 야행성이라 주로 새벽에 잠을 자고 밤에 활동을 한다고 합니다. 먹이는 주로 곤충이나 지렁이를 먹고 잡식성이라고도 알려져 있어 오이와 같은 채소 식물도 섭취한다고 합니다. 고슴도치는 작은 동물이라 사람과의 관계가 친해지기까지가 강아지와 고양이에 비해 시간이 조금 더 걸린다고 합니다. 분양가는 비싼 편은 아니지만 털 색깔에 따라서 조금씩 차이는 난다고 합니다.
라쿤
두 번째로 설명할 애완동물로는 라쿤입니다. 동물원에 가면 한 번쯤은 보셨을 텐데요. 먹이를 주면 작은 앞발로 먹이를 집어가려고 하는 게 어찌나 귀엽던지... 귀여운 외모 때문에 인기가 많다고 합니다. 라쿤은 미국 너구리로 굉장히 영리한 동물이라고 합니다. 먹이를 주면 씻어먹기도 하고, 대소변도 금방 가릴 줄 안다고 하며, 잡식성이라 무엇이든 잘 먹는다고 합니다. 라쿤은 튼튼한 동물이며, 수명도 10년~15년 정도 되기 때문에 애완동물로 관리만 잘한다면 오래 키울 수 있는 반려 동물이라고 합니다.
슈가 글라이더
지금 보시는 친구는 슈가글라이더 라고 합니다. 저는 유튜브를 통해서만 봤지만 한 번쯤 키워보고 싶은 애완동물이기도 합니다. 슈가글라이더를 하늘다람쥐로 착각하시는 분들이 있더라고요. 살짝 다른 차이점이 있어요. 슈가 글라이더는 캥거루목이며 유대류이지만, 하늘다람쥐는 쥐설치류보목이며 태반류에 속한다고 합니다. 슈가글라이더는 애완동물로 키울 수 있지만, 하늘다람쥐는 멸종위기 보호종이라 키우면 안 된다고 합니다. 슈가 글라이더는 야행성이며 길들이기 쉽고, 주식은 과즙이 풍부한 과일류를 먹는다고 합니다. 그 외로 견과류, 채소류, 사료도 잘 먹는다고 알려져 있어요. 수명은 15년 정도 된다고 합니다.
사막여우
지금 소개할 동물은 바로 사막 여우입니다. 사막여우 또한 동물원에 가면 볼 수 있는 동물이었지만, 최근에는 집에서 애완동물로 키우는 사람들이 있다고 합니다. 여우의 한 종류로 페넥여우라고도 불린다고 합니다. 가장 작은 개과 동물종으로 수컷은 머리부터 몸까지의 크기 39cm~39.5cm, 꼬리길이는 23cm~25cm, 귀 길이는 10cm이며, 무게는 최소 1.3kg이다. 한편 암컷은 머리부터 몸까지 크기가 34.5cm~39.5cm, 꼬리길이는 수컷과 같고 귀 길이는 9cm~9.5cm이며, 무게는 1kg~1.9kg으로 알려져 있다. 사막여우는 더위에 강하지만 추위와 습기에는 약하다고 알려져 있어 집안에서 키우실 때는 항상 온도와 습도를 잘 유지해야 된다고 합니다.
미어캣
식육목 고양이아목 몽구스과에 속하는 포유류로 불리는 미어캣입니다. 동물원에 가서 보는 동물이지만 저는 갈 때마다 타이밍이 안 맞아서 그런지 항상 자는 모습만 본 거 같네요. 미어캣의 특징은 몸집이 작고 몸길이는 24cm~35cm에 몸무게는 1kg도 안된다고 합니다. 주행성 동물이며, 사람과 같이 두 발로 서있는 모습을 보면 귀엽게 보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천방지축 장난꾸러기로 알려져 있으며, 물로 씻는 것을 싫어한다고 합니다. 주로 주식은 곤충류 및 전갈이나, 거미류이고, 채소나 과일을 먹기도 한다고 합니다. 미어캣은 전갈이나 거미의 독에 면역이 있어, 먹이로 주면 잘 먹는다고 합니다. 미어캣을 키우려면 새끼일 때부터 키워야 서열이 사람보다 아래로 판단해 잘 따른다고 하지만, 그게 아닐 경우, 한번 정해진 서열은 다시 고치기 힘들고, 서열 인식이 잘 못 되면 주인을 무시하거나 무는 경우도 생긴 다고 합니다.
'여러종류 반려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핑크스 고양이의 분양 및 관리방법 (0) | 2025.05.05 |
---|---|
귀여운 애완동물 친칠라 키우기 (0) | 2025.05.05 |
애완동물 페럿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5.05.05 |
강아지의 행동과 표정에 대해... (0) | 2025.05.04 |
강아지가 먹지 말아야 하는 음식 (0) | 2025.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