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러종류 반려동물/강아지

💉 강아지 예방 접종 & 건강 검진 주기 총정리

by Royal 2025. 9. 22.

💉 강아지 예방 접종 & 건강 검진 주기 총정리: 행복한 반려견의 필수 건강 지침서

"우리 강아지, 언제 예방 접종 시작해야 하나요?", "종합 백신은 몇 차까지 맞아야 하나요?", "매년 건강 검진, 꼭 해야 하나요?", "어떤 주사를 맞아야 할지 잘 모르겠어요."

 

사랑스러운 새끼 강아지를 가족으로 맞이하는 순간, 우리는 그 아이의 평생 건강과 행복을 책임지게 됩니다. 강아지의 건강을 지키는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방법은 바로 **'예방 접종'**과 **'정기적인 건강 검진'**입니다. 예방 접종은 치명적인 바이러스 질병으로부터 우리 강아지를 보호하는 방패와 같습니다. 또한, 정기적인 건강 검진은 강아지가 겉으로 표현하지 않는 몸속의 이상 신호를 조기에 발견하는 중요한 수단입니다.

하지만 초보 견주들에게는 이 모든 것이 복잡하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 글은 **'초보 견주가 가장 궁금해하는'** 강아지 예방 접종과 건강 검진에 대한 모든 것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새끼 강아지 필수 접종 스케줄**부터, **성견 및 노령견의 건강 관리 가이드**까지 상세하게 담았습니다. 이 글을 통해 우리 강아지의 건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오래오래 행복한 반려 생활을 이어가시길 바랍니다. 자, 이제 우리 강아지의 건강 지킴이가 되어볼까요?


1. 새끼 강아지 필수 예방 접종 스케줄 (생후 6주~16주)

새끼 강아지는 어미에게 받은 항체 덕분에 면역력이 어느 정도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사라집니다. 이때 예방 접종을 통해 스스로 항체를 형성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수의사와 상담하여 아래와 같은 스케줄로 접종을 진행합니다.

✔ 필수 예방 접종 5차 스케줄

1차 (생후 6~8주): DHPPL(종합 백신) 1차 + 코로나 장염 백신 1차
2차 (생후 8~10주): DHPPL 2차 + 코로나 장염 백신 2차
3차 (생후 10~12주): DHPPL 3차 + 켄넬 코프(기관지염) 백신 1차
4차 (생후 12~14주): DHPPL 4차 + 켄넬 코프 백신 2차
5차 (생후 14~16주): DHPPL 5차 + 인플루엔자 백신 1차
추가 (생후 16주 이후): 인플루엔자 백신 2차 + 광견병 백신 1차

2. 성견 강아지 연례 예방 접종 & 심장사상충 예방

새끼 때 예방 접종을 마쳤다고 끝이 아닙니다. 성견이 된 후에도 꾸준히 면역력을 유지해야 합니다. 또한, 연중 내내 심장사상충 예방을 해주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성견 연례 예방 접종

  • DHPPL(종합 백신) + 켄넬 코프: 1년에 한 번씩 추가 접종을 권장합니다.
  • 광견병: 법적으로 의무화된 백신으로, 1년에 한 번씩 접종해야 합니다.

✔ 심장사상충 예방

심장사상충은 모기로 인해 감염되는 치명적인 질병입니다. 한 번 감염되면 치료가 어렵고, 치료비도 많이 들기 때문에 예방이 최선입니다. **매달 한 번씩** 심장사상충 약을 먹이거나, 바르는 약을 사용해야 합니다. 약을 복용하기 전에는 반드시 병원에서 심장사상충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3. 강아지 연령별 건강 검진 주기와 검사 항목

강아지는 사람보다 나이 드는 속도가 빠르므로, 정기적인 건강 검진이 필수적입니다. 연령별로 필요한 검사 항목이 다르므로 아래 내용을 참고하세요.

✔ 연령별 건강 검진 주기

  • 어덜트 (1~6세): 1년에 한 번 정기 검진을 권장합니다.
  • 시니어 (7세 이상): 6개월에 한 번씩 정기 검진을 권장합니다. 노령견은 질병 진행 속도가 빠르기 때문입니다.

✔ 건강 검진 주요 검사 항목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검사들을 진행합니다. 수의사와 상담하여 강아지의 상태에 맞는 맞춤 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1. 신체 검사: 눈, 귀, 구강, 피부, 촉진 검사 등 전반적인 상태를 확인합니다.
  2. 혈액 검사: 혈구 수치, 간 수치, 신장 수치 등을 통해 내부 장기 건강을 확인합니다.
  3. 소변/대변 검사: 방광염, 신장 질환, 기생충 감염 여부 등을 파악합니다.
  4. 방사선(X-ray) 검사: 흉부(심장, 폐), 복부(간, 신장 등)를 확인하여 이상 유무를 점검합니다.
  5. 초음파 검사: 심장 초음파, 복부 초음파를 통해 장기의 기능과 형태를 더 자세히 확인합니다.

4. 예방 접종 시 주의사항 & 꼭 알아야 할 건강 상식

성공적인 예방 접종과 건강 관리를 위해 견주가 반드시 알아야 할 팁들입니다.

  • 접종 전후 컨디션 관리: 접종 전날 무리한 산책이나 놀이는 피하고, 접종 후에는 충분히 휴식을 취하게 해주세요.
  • 미열, 무기력증은 정상 반응: 접종 후 하루 이틀간 미열, 식욕 부진, 무기력함 등의 증상은 흔하게 나타나는 정상적인 면역 반응입니다. 하지만 증상이 심하거나 오래 지속되면 병원에 연락해야 합니다.
  • 산책은 접종 후 1~2주 뒤에: 새끼 강아지는 예방 접종이 완전히 끝나기 전까지 외부 바이러스에 취약합니다. 병원에서 허가한 시기까지는 외부 산책을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 정확한 접종 기록 관리: 동물병원 수첩이나 앱을 통해 예방 접종 기록을 꼼꼼하게 관리하세요.

강아지 예방 접종과 건강 검진은 사랑하는 반려견의 건강과 행복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투자입니다. 이 글을 통해 얻은 지식을 바탕으로 우리 강아지의 건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질병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지켜주세요. 당신의 세심한 관심과 꾸준한 노력이 우리 강아지의 평생 건강을 지키는 가장 큰 힘이 될 것입니다. 당신과 강아지의 행복한 반려 생활을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이 글을 읽으신 후, 우리 강아지 건강을 위해 가장 먼저 해보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요? 댓글로 당신의 계획을 공유해주세요!

#강아지예방접종 #강아지건강검진 #강아지접종시기 #강아지질병 #강아지키우기 #초보견주 #강아지건강 #반려견건강 #종합백신 #켄넬코프 #광견병 #심장사상충 #강아지상식 #반려동물 #건강관리